-
- [서울신문]“위안화 기축통화 경쟁 2035년 전후 본격화”
- 전병서 중국경제금융연구소 소장 인터뷰 “달러 패권 요지부동 2049년 달러-위안화 패권경쟁 시작” “中 위안화 2035년 세계 3위 결제통화 가능성 높아” “1위 수출대상국 중국 의존 당분간 불가피, 절대적 안전운행 필요해”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국제통화 시장이 요동을 치고 있다. 영국 파운드화를 밀어내고 80년 넘게 금융 지배권을 유지했던 달러패권이 흔들리고 있다는 경고음도 요란하다. 전병서 중국경제금융연구소 소장과의 인터뷰를 통해 기축통화 전쟁 현황과 달러에 도전장을 던진 위안화의 현주소를 알아봤다. 푸단대 경영학박사 출신인 전 소장은 중국 경제전문가(경희대 객원교수)로 활동 중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제 통화시장의 변화가 있는데. “사우디나 러시아의 비달러 석유결제 움직임이 있는 것은 사실이나 국제무역과 금융거래에서 기본 결제수단으로 달러의 위상은 견고하다. 2020년 사우디의 석유수출금액은 1137억달러이고 러시아는 726억달러에 불과하다. 아직까지는 ‘찻잔 속의 태풍’으로 볼 수 있다” -미중 패권 경쟁시대 중국이 사활을 건 위안화의 국제화 현황은. “기축통화로서 달러와 경쟁을 하려면 적어도 중국이 세계 1위 GDP(국내총생산) 국가가 된 2035년 전후가 될 것이다. 중국 공산당은 건국 100주년을 맞는 2049년 군사력에서 미국과 대등한 위치에 오른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계획이 실현된다면 2050년 전후로 본격적인 기축통화 전쟁이 시작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중국 위안화가 기축통화가 되기 위한 조건은 “기축통화는 경제력, 군사력, 금융력의 종합적 귀결이다. 위안화의 경우 경제규모(GDP)에서 미국을 추월해야 하고 이를 토대로 군사력과 금융력이 뒷받침돼야 한다. 중국은 위안화 역외금융센터 등을 통해 무역에서 결재 확대를 추진하고 있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무엇보다 금융시장 개방을 통해 전 세계가 위안화 금융상품을 안전하게 투자할 수 있어야 한다. 중국은 금융산업이 낙후돼 자본 시장 개방조차 늦추고 있다. 중국도 최소 30년 이상이 걸리는 장기 프로젝트로 위안화 국제화를 추진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사태가 미친 영향은. “기존의 무역·기술 전쟁이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공급망 전쟁으로 확전되는 양상이다. 중국이 최대 원유 수입국이자 주요한 곡물 수입국이라는 점에서 중국 경제가 받은 충격은 크다. 미국의 경우 러시아와 중국을 견제하고 독일과 프랑스 등 유럽 국가들을 길들이고 올 11월 중간선거에서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는 효과를 보고 있다. 미국이 직접 참전을 하지 않았지만 우크라이나에 무기 등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면서 항전을 독려하는 것도 이런 이유다. ” -미중 패권 시대 한국경제의 목표와 방향은. “코로나·우크라이나 사태를 계기로 기술이 있어도 공장과 원자재가 없으면 아무 소용이 없는 시대가 도래했다. 한국은 미중 공급망 전쟁(반도체, 배터리, 희토류, 의약품)에서 피해자가 될 수도 있다. 한국의 대중 수입 의존도가 50% 이상인 품목이 1088개나 되고 70% 이상인 취약품목도 653개에 달한다. 적어도 5년은 안미경중(安美經中·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의 시대를 벗어나기 어렵다. 한국의 제1위 수출국에 대해 절대적인 안전운행이 필요하다.” -우리는 어떤 대책이 필요한가. “중국은 반도체가 없고 미국은 배터리가 없다. 한국이 미중 전략경쟁에서 레버리지로 삼을 수 있는 것은 외교가 아니고 이들 기술과 생산능력이다. 반도체와 배터리는 단순한 재벌의 수익사업이 아니라 국가의 안보산업, 전략산업이다. 파격적인 지원과 독보적인 입지를 유지해야 한국이 미중 패권경쟁 시대에 살아남을 수 있다.” 오일만 논설위원 [출처: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원문 바로보기: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20505500024&wlog_tag3=naver
-
- 작성일 2022-05-06
- 조회수 0
-
- [내일신문][금요진단] 러시아 스위프트 제재의 의미와 세계경제 영향
- 러시아 스위프트 제재의 의미와 세계경제 영향 2월 27일 유럽연합(EU) 영국 미국 캐나다는 러시아 주요은행의 국제은행간통신협회(Society for Worldwide Interbank Financial Telecommunications,SWIFT) 시스템 사용을 차단한다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SWIFT 사용배제는 업계에서 '금융 핵폭탄'으로 불릴 정도로 강력한 제재에 속한다. 이의 시행은 세계와 러시아간 무역 및 금융 흐름의 대부분이 차단된다는 말과 같다. SWIFT는 1973년 벨기에에서 발족된 국제은행간통신협회로 각국 주요은행 상호간의 지불·송금업무 등을 위한 데이터 통신을 목적으로 하는 비영리법인단체다. 각국 은행들이 이 시스템에 접속해 다른 국가의 은행들과 연결한다. 결제 요청 메시지는 각종 보안이 걸려있어 추가 확인없이 곧바로 이행된다. 따라서 SWIFT는 국제무역의 자금결제·운영의 핵심기반이라고 볼 수 있다. 러시아 은행들이 SWIFT에 접속하지 못한다는 것은 러시아가 세계 무역과 금융, 자본시장에서 차단되어 고립된다는 의미다. 앞으로 러시아 기업은 물론 개인도 수입대금을 지불하거나 수출대금을 받기 힘들고 해외에서 돈을 빌리거나 투자하기 어려워진다. 물론 결제는 결국 양국 은행간 사전협의로 전화나 메시지, 이메일이나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해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비효율적이고 안전하지 않으며 막대한 비용이 드는 일이다. 현재 SWIFT에는 전세계 200여개 국가·지역의 1만1000여개 금융기관이 가입하고 있으며, 매일 최대 4200만개의 금융정보와 수조 달러의 자금을 처리한다. 2021년 말 기준 SWIFT 시스템에서 미국 달러, 유로, 파운드, 위안화 결제 사업의 시장 점유율은 각각 40.5%, 36.7%, 5.9%, 2.7%다. 달러·유로화 중심의 결제가 많으며 위안화 국제결제 비중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중립 표방하지만 미국 영향력 크게 작용 SWIFT 주요 구성원은 미국과 EU 국가들이다. SWIFT는 전세계 대부분의 자금이체 정보를 장악했으며 그중 40% 이상이 미국 달러로 결제되기 때문에 미국이 이를 상업적 도구에서 정치 도구로 변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9.11테러 이후 미국은 반테러라는 명목으로 SWIFT 시스템에 대한 통제를 강화해왔고, 2011년부터 공식적으로 SWIFT 시스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기 시작했다. SWIFT가 거듭 중립을 강조해왔지만 미국 달러가 지배하는 국제통화체제 아래서 SWIFT가 독립적인 의사결정을 내리기 어렵고, 강대국의 정치적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 SWIFT 경영진은 25명의 이사로 구성되어 있다. 주식비중 상위 6개국은 각 2명의 이사를 선출해 총 12명의 의석수를, 주식비중 7위부터 16위까지의 국가는 각각 1명의 이사를 선출해 총 10명의 의석수를 차지한다. 나머지 3명의 이사는 회원국에서 공동지명해 선출할 수 있다. 현재 미국 벨기에 프랑스 독일 영국 스위스는 각각 2개의 이사회 의석을 보유하고 있다. 1983년 SWIFT에 합류한 중국은 2018년 처음으로 이사회 1개 자리를 부여받았다. 미국은 3가지 채널을 통해 SWIFT 시스템 운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우선 미국은 이사 2석에, 대부분의 경우 이사회 의장직을 맡고 있어 SWIFT 시스템 운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음 9.11 테러 이후 미 의회는 국제긴급경제권법(International Emergency Economic Rights Act)을 통과시켰다. 이 법으로 미국정부는 SWIFT 시스템에서 '테러리스트 활동과 관련된 금융거래 및 자본흐름에 대한 정보'를 언제든지 얻을 수 있는 권한을 확보했다. 마지막으로 SWIFT는 미국의 요청으로 뉴욕에 지부센터를 설립하고 미국 달러 결제 시스템인 칩스(CHIPS)와 연결했다. SWIFT 결제의 40.5%를 차지하는 달러의 궁극적인 공급자로서 미국은 CHIPS를 통해 SWIFT에 대한 영향력을 더욱 강화시켰다. 인플레 상승, 금융시장 불안 증가 현재 미국과 유럽은 러시아 금융 시스템과 SWIFT 간의 연결을 완전히 끊지 않았다. 석유와 천연가스 결제는 아직 포함시키지 않고 있다. 그 이유는 유럽경제가 러시아의 에너지 공급에 크게 의존하고 있고, 성급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칠 타격 또한 크기 때문이다. 러시아의 경우 다른 결제 시스템이나 암호화폐 등을 통해 국제거래를 할 수도 있다. 러시아가 SWIFT 시스템에서 제외되면 위안화 결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것은 러시아의 '탈달러화'를 가속화시키고 중국 등과의 협력을 강화하며 위안화의 국제적 지위를 끌어올릴 것이다. 2014년 크림반도 사태 당시 미국이 SWIFT 시스템 차단을 여러차례 위협한 이후 러시아는 외환보유액 중 위안화 금 등의 비중을 늘리고 자체 국제거래청산결제시스템(SPFS)을 개발하는 등 '탈달러화'를 위한 준비를 해왔다. 중국 역시 자체 은행 간 국제결제시스템(CIPS)을 2015년 설립했으며, 위안화 국제결제를 지원하고 있다. 위안화 칩스에는 2021년 8월 현재 1211개 은행기관이 참여하고 있으며 거래금액은 약 연간 11조달러이다. 주요 사용 국가는 러시아 이란 베네수엘라 터키다. 어쨌건 우크라니아전쟁으로 세계경제는 위기에 직면했다. 첫째, 러시아에 대한 SWIFT 시스템 사용배제는 무역경로를 통해 전세계 에너지와 식량 부족 사태를 심화시킬 것이다. 이로 인해 글로벌 인플레이션은 상승할 수밖에 없다. 2020년 기준 러시아 원유 수출량은 전세계의 11.1%로 세계 2위다. 이중 약 50%를 EU로 수출한다. 천연가스는 전세계 수출량의 16.1%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중 약 45%를 EU로 수출한다. 주요 수출국은 독일과 이탈리아 네덜란드다. 2021년 이후 글로벌 통화정책 완화, 수급 부족, 에너지 전환 등의 영향으로 유가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2월 말 기준 국제유가가 100달러를 돌파해 최근 7년 만에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 인플레이션 수준은 40년 만에 최고치다. 러시아 SWIFT 시스템을 차단하면 에너지 공급 통로를 차단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고공행진 중인 에너지 부족과 인플레이션 상승상황에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러시아의 에너지 공급 능력을 심각하게 약화시켜 원유가격 급등을 부추기게 되는 것이다. 둘째, SWIFT 시스템 러시아 사용배제는 채권시장을 통해 글로벌 금융안정 시스템을 위협할 수도 있다.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2021년 Q3 기준 각국 은행의 러시아 채권 보유액은 약 1215억달러로 이탈리아 20.8%, 프랑스 20.7%, 오스트리아 14.4%, 미국이 12.1% 순이다. 러시아 SWIFT 시스템 차단은 부채상환 불능으로 유럽과 미국 은행권에 자산 손실 위험을 초래해 글로벌 유동성과 금융기관 대차대조표를 위협할 수 있다. 또한 금융제재 동참 국가 확산, 시장 공포심리 확산, 투자자의 위험선호 감소와 금 등 안전자산 투자 확대, 신흥시장 자본 철수와 함께 미국 등 선진국으로의 자금유입 등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은 요동칠 수밖에 없다. 중국경제 금융시장 위험도 증가 마지막으로, 중국의 무역거래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간접적인 영향은 커질 전망이다. 2021년 기준 중국의 대(對)러시아 무역 규모는 중국 수출입의 2.42%를 차지한다. 중러무역은 위안화 결제가 가능해 SWIFT 시스템을 우회할 수 있어 무역 채널을 통한 직접적인 영향은 적다. 그러나 러시아에 대한 금융제재로 지정학적 충돌이 격화되면서 이로 인한 인플레이션 확산,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 증가, 위험회피자산의 미국 자본회류 등이 복잡하게 얽혀 중국경제와 금융시장에 위험을 증대시키고 있다. 안유화 중국증권행정연구원 원장 [출처: 내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원문 바로보기: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415946
-
- 작성일 2022-05-06
- 조회수 0
-
- <한중비즈니스캡스톤디자인> (주)미래컴퍼니의 중국시장 진출전략 중간발표
- 중국대학원 원우 여러분 안녕하세요. 중국대학원은 화성상공회의소, ㈜미래컴퍼니와 함께 "우리나라 중견‧중소기업의 중국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적 제안"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한중비즈니스캡스톤디자인> 수업을 통해 ㈜미래컴퍼니의 중국시장 진출을 위한 시장조사 및 마케팅전략 도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난 4월 14일, ㈜미래컴퍼니를 방문하여 수술로봇 ‘Revo-i(레보아이)’도 직접 체험해보았고, 김준구 대표이사와 주요 임직원 앞에서 “중국의 수술로봇 시장에 대한 4C분석”에 대한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미래컴퍼니 김준구 대표는 중국대학원의 자료가 실무에서 매우 필요한 내용으로 향후 전략도출까지 긴밀하게 협력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왼쪽부터 화성상의 구대완 본부장, 미래컴퍼니 김준구 대표이사, 중국대학원 노은영 교수, 19기 오지희, 20기 구선민, 미래컴퍼니 이호근 전무, 조창연 팀장, 황지석 상무
-
- 작성일 2022-04-18
- 조회수 258
-
- [아주경제]韓中관계, 경제력, 기술력이 외교력이다
- 한중관계 경제력, 기술력이 외교력이다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대중전략에 논란이 많다. 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이라는 '안미경중(安美經中)전략'이 수명을 다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의 한미동맹, 1대교역국 중국으로부터 오는 무역흑자는 최근 20년간 변함이 없었다. 앞으로도 중국을 대체할 무역상대국도 미국을 대체할 안보동맹은 구할 수가 없기 때문에 적어도 5년 안에 큰 변화는 없을 것이다. 그래서 미래에도 여전히 '안미경중'이다. 표심(票心)에 목숨 거는 정치는 큰소리로 떠들지만, 돈심(錢心)에 목숨 거는 경제는 은밀하게 조용히 실행해야 하는데 새 정부 출범 앞두고 정치공약이 너무 세다. 사드, 쿼드문제를 언급한 한국에 대해 이를 실행한다면 중국은 절대 좌시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그 피해는 정치가 아니라 고스란히 기업과 국민이 떠안는다는 데 문제가 있다. 한중수교 30주년을 맞지만 그간 어업분쟁부터 최근의 사드 분쟁까지 한·중관계는 바람 잘 날 없었다. 한국은 8명의 대통령이 바뀌었고 중국은 3명의 주석이 바뀌었지만 한·중간의 무역은 계속 늘어났다. 2017년 사드배치 이후 5년 중 반중정서가 최악인 2021년에도 한·중간의 무역은 사상최대치를 경신했다. 한·중관계, 외교와 국민정서가 문제라고는 하지만 한·중관계의 핵심은 경제력, 기술력이었다. 중국의 한국에 대한 태도변화가 문제지만 그것은 경제력에 답이 있다. “가게가 커지면 종업원이 손님을 깔본다” 말은 한·중관계에 딱 들어맞는 말이다. 1993년 한국의 GDP는 중국의 83%였지만 2021년에 11%로 추락하자 중국이 거만하게 나오는 것이다. 한국, 중국을 버려야 산다? 한국은 대중국 문제를 냉정한 이성으로 접근하는 것이 아니고 분노한 감성으로 접근한다. 반중정서는 한국만의 일이 아니고 전세계 공통현상이다. 반중정서는 중국이 코로나로 자초한 일이고 중국의 오만과 무례가 만들어낸 것인데 이를 한국 내부의 문제로 보는 것은 과하다. 일본, 호주, 미국은 한국보다 더 반중정서가 높다. 반중정서도 당당하게 야기하고 이를 외교협상의 수단으로 활용하면 된다. 그러나 진짜 문제는 반중정서가 아니라 한국의 경쟁력이다. 한·중·일의 삼각무역 구조도 끝났고, 중국에서 전통산업의 선발자 우위도 끝났다. 한국의 무역흑자 중 83%가 중국에서 오지만 문제는 반도체를 제외하면 전통산업에서는 무역적자다. 세계 5위의 자동차생산국 한국자동차업계의 중국시장점유율은 10%대에서 1%대로 추락했고 세계 1위의 스마트폰 판매업체의 중국시장점유율이 0%다. 이것이 적나라한 한국의 대중국 경쟁력의 현실이다. 한국 대중 제조업의 리밸런싱이 필요하다. 중국과의 경쟁에서 포기할 산업, 협력할 산업, 우위에 선 산업을 구분해서 봐야 한다. 중국의 공장에 돈 묻던 시대는 갔고 중국 시장과 기술에 돈 묻는 시대가 왔다. 중국에서 R&D하고 중국기업에 투자하고 금융으로 리밸런싱하는 역발상이 필요하다. 전쟁으로 땅이 피로 물들 때, 고수는 땅을 산다고 한다. 남들이 빠질 때 들어가고 들어갈 때 빠져야 한다 한국 전통제조업의 “탈(脫)중국”과 소비재산업과 금융업의 “진(進)중국”을 서둘러야 한다. FTA(자유무역협정), 한한령(限韓令) 타령은 이제 그만할 때가 되었다. 한국기업이 중국에 밀리는 것은 관세가 높아서 중국에 수출 못하는 것이 아니라 기술력과 가격경쟁력에서 밀리기 때문이다. 농업시대에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지만 정보시대에는 5년이면 강산이 두 번도 더 변한다. 대장금과 대발이 아버지의 한류 콘텐츠 신화는 2017년에 끝났다. 5년이 지난 지금도 한류가 먹힐 거라는 것은 오산이고 한한령 해제에 저자세로 매달리는 우를 범하면 안 된다. 왕안석이 비래봉에 올라 지은 시에 “뜬 구름이 시야를 가리지 못하는 건 내 몸이 가장 높은 곳에 있어서라네(不畏浮雲遮望眼 自綠身在最高層)”라는 구절이 나온다. 세계를 뒤흔드는 BTS를 만든 나라에서 오지 말라는 중국에 저자세로 매달릴 이유가 없다. 미국은 지금 세계질서의 안정적 유지보다는 지난 40여년간 구축된 세계의 공급망을 여러 부분을 강제로 나누어 중국을 세계의 공급망에서 분리하려는 것이지만 문제는 공급망 분할에서 미국이 타격받는 것이 아니라 중국의 공급망에 편입된 나라들이 고스란히 그 피해를 감내해야 한다는 것이다. 공급망 패권시대에 중국에 무조건 “China Free”를 들이밀다간 요소수사태 같은 일이 대중국 의존도가 높은 1088개 품목에서 1088번은 더 일어날 수 있다. 미국의 동맹배제 공포, 중국의 보복 공포에서 벗어나야 한다. 1998년 아시아 금융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로 인한 글로벌 록다운 위기에서 유일하게 이를 피해간 나라가 중국이다. 서방은 지난 20여년간 중국이라는 독감환자를 말기 암환자로 오진하는 우를 범했다. 고장난 시계처럼 반복하는 서방의 중국위기론, 붕괴론에 맞장구 칠 일은 아니다. 미·중 관계에서, 향후 10~15년 내에 중국이 미국을 추월하는 골든 크로스(Golden Cross)와 구소련과 일본의 사례처럼 추락하는 데드 크로스(Dead Cross)의 시나리오를 만들고 여기에 대한 각각의 컨틴젼시 플랜을 만들어 대응해야 한다.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우리 한국은 중국의 데드 크로스보다는 골든 크로스를 상정하고 대비책을 만드는 것이 안전하다. 4차산업혁명은 순식간에 부의 이전이 일어나는 무서운 혁명이다. 3차산업혁명까지의 경험과 자산은 큰 의미가 없다. 미국과 중국이 지금 박 터지게 싸우는 반도체와 데이터(Data), AI(인공지능)는 모두 이 같은 맥락이다. 한국은 뭘 선택해도 터질 건 터진다. 미국 동맹이든 중국의 공급망이든간에 배제의 공포에서 벗어나야 한다. 한국의 미·중관계는 거대담론이나 쿼드(QUAD)같은 명분의 것이 아니라 4차산업혁명에서 누구와 협력하고 누구와 경쟁할 것인가를 정하는 것이 실리다. 새 정부 들어 중국과의 협력이 과제다. 상호존중의 외교를 한다고 하지만 협력은 서로가 가진 결핍을 메울 수 있으면 협력이고 그렇지 않으면 밥 먹고 사진 찍는 이벤트로 끝난다. 중국이 절절히 원하는데 갖고 있지 못하는 것을 던지면 협상과 협력은 쉽게 끝난다. 파리는 파리채로 잡는 것이 아니라 꿀로 잡으면 간단하다. 한국의 대중외교, 거대담론보다는 중국에 던질 꿀단지가 있는지를 찾아야 한다. 전병서 필자 주요 이력 △푸단대 경영학 박사 △대우경제연구소 수석연구위원 △경희대 경영대학원 객원교수 △중국경제금융연구소 소장 [출처: 아주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원문 바로보기: https://www.ajunews.com/view/20220320081622437
-
- 작성일 2022-03-21
- 조회수 0
-
- [한국경제]중국 시장의 '보이는 큰 손'…주식시장도 살려낸다? [더 머니이스트-Dr.J’s China Insight]
- 최근 홍콩증시와 중국증시가 외국인 투자자들의 투매로 요동을 쳤습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전쟁을 벌이고 있는 와중에 중국 증시가 빠지며 개인 투자가들이 혼란스러워 합니다. 금융시장에선 이번 우크라이나발 지정학적 위험의 최대 수혜자는 미국과 러시아이고, 최대 피해자는 중국과 유럽이라고 합니다. 국제유가, 비철금속 등 원자재 가격 폭등하면서 입니다. 유럽은 러시아의 천연가스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세계 6대 산유국이지만 전세계 최대의 석유수입국이기도 합니다. 유럽의 생산자물가는 폭등했고, 중국의 생산자 물가도 급등했습니다. 우크라이나가 전세계의 화약고가 됐지만 금융은 홍콩이 화약고가 됐습니다. 국제정세의 악재가 모두 홍콩에 몰리는 형국이기 때문입니다. 홍콩 영토는 중국이 가지고 있지만 금융은 미국영토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홍콩 금융은 제롬 파월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 손에 좌우됩니다. 홍콩 증시는 미국과 유럽 투자가가 증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전형적인 외국인 주도 시장입니다. 하지만 주력 상장회사의 70%는 중국본토 기업입니다. 미국은 중국 루이싱커피 부실회계 사건으로 미국에 상장된 중국 기업들을 압박하기 시작했습니다. 재무서류를 제출하지 않으면 상장폐지 시킨다는 외국회사책임법을 통과시키도 했습니다.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미 증시에 상장된 5개 중국 기업을 외국회사책임법 적용 대상으로 발표했습니다. 그간 중국은 미국 증시에 상장한 자국기업의 상장폐지를 대비해 홍콩증시에 2차 상장을 유도했습니다. 알리바바, 바이두 같은 대형 인터넷 플랫폼기업들이 홍콩에 2차상장을 했는데, 원주 상장폐지의 공포가 홍콩에 엄습했습니다. 공포를 느낀 홍콩 증시 투자가들은 투매를 했습니다. 게다가 글로벌 투자은행(IB)인 JP모간이 이미 주가가 폭락한 중국의 인터넷기업 29개에 대해 투자등급을 낮추고, 매도의견을 제시한 것도 홍콩 플랫폼기업의 주가 폭락에 기름을 부었습니다. 미 Fed의 기준금리 인상을 비롯해 러시아의 채무불이행(디폴트) 우려 등으로 아시아에서 자금회수가 이뤄졌습니다. 특히 홍콩은 아시아 자금회수의 현금인출기(ATM) 역할을 했습니다. 또 전세계 최대 석유 소비국인 중국은 60달러 수준에서 120달러대까지 폭득한 석유가격의 폭탄을 그대로 기업의 수익악화로 반영시킬 수 밖에 없었습니다. 결국 홍콩 증시는 유동성과 기업실적 모두에서 폭탄을 맞았습니다. 중국 본토 주식시장도 폭락장이 연출됐습니다. 하락 요인으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과 미국의 경제보복 공포가 있습니다. 중국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선전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일주일간 도시봉쇄에 들어갔습니다. 미국이 중국을 향해 러시아를 지원하게 될 경우 각오하라는 언급이 무역보복이란 악몽을 떠오르게 했습니다. 이에 투자자들은 패닉에 빠졌고, 외국인들은 연초이래 최대 규모의 자금을 중국 본토에서 빼갔습니다. 中 증시를 살린 류허 부총리의 '청심환' 조치 이달 16일 중국과 홍콩 증시가 급격히 빠지고 있을 때 '보이는 손'이 등장했습니다. 바로 중국 시진핑 주석의 경제책사이자 중국 고위급 중 유일하게 미국 하버드대 출신인 류허 부총리의 발표였습니다. 류 부총리는 10가지 내용의 금융안정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시장은 곧바로 반응했습니다. 중국 증시와 홍콩 증시는 이틀간 급등했습니다. 우리는 10가지 금융안정대책 내용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중국의 금융정책을 결정하는 최상위 기관은 재정부나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아닙니다. 바로 중국 국무원의 금융안전발전위원회입니다. 중국은 2017년 7월14일 베이징에서 열린 국가재정공작회의에서 금융감독을 강화하고 규제의 허점을 보완하기 위해 금융안전발전위원회 설립을 결정했습니다. 이후 같은해 11월 당중앙위원회와 국무원의 비준을 거쳐 국무원 금융안정발전위원회를 설치했습니다. 류허 부총리가 주임이고, 이강 인민은행장이 실무책임자입니다. 또 궈수칭 은보감원(은행보험업감독관리위원회)장, 판공성 외환관리국장 등이 구성원으로 있습니다. 여기서 중국 금융정책의 중요한 방향성을 결정합니다. 이번 금융안정발전위원회가 발표한 주요 내용을 보면 특별히 새로운 것은 없습니다. 기존에 발표됐던 정책을 재확인하는 수준에 그쳤지만 시장은 금융정책의 최고의사결정기관인 위원회의 위상과 류허라는 경제총괄책임자의 입에서 나왔다는 점에 주목을 했습니다. 리커창 총리가 76번 외친 '안정' 이번 2022년 중국 양회에서 주목할 것은 리커창 총리의 발언입니다. 중국 양회의 정부 발표문에는 도표가 없습니다. 모조리 서술식으로 되어 있어, 그 행간의 의미를 해석하는 데 애로가 많습니다. 그러나 중국은 표의문자의 특성상 중요정책의 핵심은 키워드의 반복의 수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올해 리커창 총리의 정부업무보고에서 가장 많이 나온 단어는 '안정'(稳)입니다. 무려 76번이나 언급됐습니다. 2022년 중국 경제정책의 최우선은 안정 성장입니다. 하지만 정부의 발표 직후 중국 본토 증시와 홍콩 증시가 포락하자 중국의 체면이 말이 아니게 됐습니다. 외국인 자금 유출이 거세지자 중국 정부가 급히 손을 쓴 것입니다. 중국 정부는 금융시장의 안정화를 위해 '3+2의 청심환'을 먹였습니다. 그간 금융시장이 불안해하던 △거시정책 △미국 상장 중국기업의 처리문제 △홍콩금융시장의 안정화 방안을 내놨습니다. 또 기업들의 목을 졸라 매었던 △부동산기업에 대한 규제 △인터넷 플랫폼기업에 대한 규제 완화 등을 언급한 것이 증시 폭등의 계기가 됐습니다. 이번 5가지의 시장 불안 요인에 대해 힘 있는 정부 당국자가 직접 해법과 확인을 했다는 것에 의미가 있습니다. 이번 조치가 단기에 그칠지 장기성을 가질지는 중국 정부의 후속조치에 달렸습니다. 과거 금융안전발전위원의 회의 이후에는 바로 지준인하가 있었습니다 2018년 제1차회의(2018년 7월2일) 직후 3일 만에 지급준비율을 낮줬습니다. 2018년 특별회의(2018년 9월10일) 이후에도 100bp 지준인하를 했습니다. 2021년 회의(2021년 7월6일) 이후에도 3일 만에 지준인하를 했습니다. 과거의 사례를 보면 이번주 혹은 다음주에 지준율 인하가 있을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선전봉쇄·군사지원, 중국의 진짜 속내는? 이번 중국증시 폭락에 투자가들의 투자심리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선전 도시 봉쇄와 미국으로부터의 무역 보복 가능성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두 가지도 좀더 냉정하게 속을 들여다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미 중국은 우한(1108만명 인구), 시안(1295만명), 텐진(1154만명)에 대해 도시를 봉쇄했던 적이 있습니다. 이번에 선전(1700만명)의 도시봉쇄가 중국경제에 치명적 영향이 있을 지 살펴봐야 합니다. 시안과 텐진의 사례를 보면, 인구 1000만 이상 도시가 일시적으로 봉쇄됐다고 중국경제에 치명적 영향을 주진 못했습니다. 최근 시안과 텐진 봉쇄도 기업들의 재고물량으로 큰 문제 없이 넘어갔습니다. 그런데 66명 확진자 나왔다고 1700만명 인구의 도시를 봉쇄한다는 것은 좀 과한 조치가 아닐까 싶습니다. 이번 선전에 대한 일주일간 봉쇄 조치는 확진자를 가리기 위한 검사기간 때문입니다. 코로나19 확산이 거세지면서 위험 수위에 도달해서 봉쇄한 것이 아닙니다. 눈여겨봐야할 것은 홍콩의 물백신 논란입니다. 홍콩은 인구 100명당 확진자, 사망자가 세계에서 가장 높습니다. 중국본토보다 통제가 약한 홍콩에서 중국산 백신의 오미크론에 대한 약점이 그대로 드러나고 있습니다. 홍콩과 선전은 인적물적 교류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번 선전의 봉쇄는 홍콩의 코로나19 감염이 선전을 통해 본토로 전염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입니다. 특히 홍콩에서 선전으로 들어온 확진자를 가리기 위한 봉쇄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번 선전 봉쇄는 다른 중국 지역 봉쇄와는 차이가 있어 보입니다. 나아가 중국이 러시아에 군사적 지원에 나설까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 중국이 군사적 지원에 나선다면 미국은 중국을 압박할 수 있는 명분을 찾게 될 것입니다. 또 최근 2년간의 무역보복과는 차원이 다른 보복에 나설 가능성이 있습니다. 중국은 고민이 많습니다. 세계 2우의 군사력을 가진 러시아의 군사지원 요청은 물귀신 전략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중국의 동맹에 대한 테스트와 미국의 동맹전략에 대항마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요청일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중국은 전세계가 보고 있고 중-러 동맹이라고 떠들었는데, 입 싹 닦기에는 세계의 시선이 두렵고 지원하자니 미국의 보복이 두렵습니다. 따라서 중국은 에너지를 반대급부로 하는 경제지원은 하되, 군사지원은 협상테이블에 올려만 놓고 시간을 끌어 명분만 만드는 전략으로 갈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중국은 러시아에 사주기로 한 에너지 수입물량에 대해 에너지가격을 후려치는 만큼만 경제지원하고, 러시아가 보유한 중국 정부 채권 840억 달러의 상환을 해주는 방식으로 지원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미국의 제재를 피하는 꼼수인 것이죠. 2022년 중국 경제정책 핵심 키워드는? 코로나19 발생으로 전세계가 경제난에 빠졌지만 중국은 강한 사회통제력으로 2020년에 가장 먼저 코로나19를 안정화 시켰습니다. 덕분에 전세계에서 가장 먼저 경기회복을 했으며, 작년에는 가장 먼저 경기하강에 들어갔습니다. 중국의 올해 경제 전략은 안전하게 경기바닥을 탈출하는 것입니다. 중국 정부는 올해 유동성 공급, 부동산 규제 해제, 사회간접자본(SOC) 건설을 통해 경기바닥을 탈출할 계획입니다. 그간의 디레버리징과 긴축을 했기 때문에 금융완화와 유동성 방출을 통해 경기부양을 실시할 예정이고, 이번 금융안정위원회의 조치도 맥락을 같이 합니다. 부동산 역시 2년간 투기억제조치를 실시했기 때문에 규제완화의 여지가 있습니다. 그래서 2022년에는 부동산규제 완화가 단계적으로 들어갈 전망입니다. 부동산을 풀면 시멘트, 철강, 화학이 살고 집이 완공되면 가구, 가전, 자동차, 패선, 음식료 산업이 순차적으로 살아나기 때문입니다. 2022년 목표 경제성장률(GDP) 5.5% 달성을 위해서 부동산 규제완화는 필수입니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모빌리티가 크게 타격 받아 소비가 부진한 상황에서는 투자가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중국은 이젠 투자도 4차산업혁명 인프라투자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물, 에너지에 이어 데이터를 국가자원으로 인식하고 이를 관리하는 중국 디지털 경제 발전을 위한 대규모 인프라 사업인 동수서산 프로젝트에 4800억 위안을 투자했습니다. 나쁜 일은 한꺼번에 몰려온다고 합니다. 중국도 대내외 악재가 몰려와 주가가 폭락하는 사태가 벌어졌습니다. 그러나 정부의 입김과 보이는 손의 힘이 강한 중국경제의 특징을 감안하면 중국의 유동성, 부동산, SOC를 잘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올해 중국경제 전망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을거 같습니다. <한경닷컴 The Moneyist> 전병서 중국경제금융연구소 소장 [출처: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원문 바로보기: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675676
-
- 작성일 2022-03-21
- 조회수 0
-
- 중국대학원, 화성상공회의소 및 (주)미래컴퍼니와 업무협약 체결
- 중국대학원 원우 여러분 안녕하세요. 중국대학원은 화성상공회의소, (주)미래컴퍼니와 함께 "우리나라 중견,중소기업의 중국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적 제안"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습니다. <한중비즈니스캡스톤디자인> 수업을 통해 (주)미래컴퍼니의 중국시장 진출을 위한 시장조사 및 마케팅전략 도출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앞으로도 중국대학원에 많은 관심부탁드립니다. 관련 뉴스 링크 주소: https://www.hsj.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653
-
- 작성일 2022-03-16
- 조회수 216
-
- [한국경제]다음은 대만?…'우크라 사태' 예의주시하는 중국 [더 머니이스트-Dr.J’s China Insight]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병 이후 전 세계적으로 반중정서인 '시노포비아'(Sinophobia)가 퍼졌습니다. 지금 전세계 대부분의 나라에서 반중정서는 최악입니다. 코로나19가 인류에 준 충격이 가시기도 전에 이번에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반러정서, '루소포비아'(Russophobia)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번 우크라이나 사태는 강대국들 사이에 힘과 실력 없이 끼인 나라가 어설픈 외교를 하면 어떤 운명을 맞는지는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믿을 것은 동맹이나 우방이 아니고 자기자신 밖에는 없다는 것, 힘이 없으면 동네북이고 이쪽 저쪽 기웃거리는 어중간 태도를 보이다가는 양쪽에서 다 버림 받습니다. 우크라이나는 핵을 포기하면 지켜주겠다고 한 미국과 나토를 믿었습니다. 친서방정책을 쓰고 나토가입을 추진했지만, 정작 미국과 나토는 러시아의 공격에 말 대포만 쏘았을 뿐이었습니다. 구멍 숭숭 뚫린 경제제재만을 하고 있습니다. 국제관계에선 피가 물보다 진하다고 하지만 '피보다 진한 것이 돈'이라는 것을 적나라하게 보여줬습니다. 미국의 유럽 동맹국들은 대 러시아 제재요청에 어중간한 태도를 보였습니다. 천연가스를 러시아에 의존하는 '에너지 볼모'로 잡힌 유럽은 러시아의 대포알 보다 북반구의 겨울이 더 두려웠기 때문입니다. 서방 국가들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해 모두 한 목소리로 비난의 목소리만 냈지, 절박한 우크라이나에 군대를 보내는 것은 미국과 유럽도 선을 그었습니다. 미국의 우방도 아니고 나토 일원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미국과 유럽이 참전의 명분이 없고, 유엔군 파병도 안보리에 러시아와 중국이 있기 때문에 쉽지 않습니다. 표심에 목숨 걸어야 하는 서방의 지도자들은 타국 전쟁에서 자국 젊은이들의 희생이 생길까 두려워 합니다. 내부 여론 눈치를 보고 있습니다. 이 같은 속내를 정확히 꿰뚫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를 공격하고 있습니다. 40년 구력의 상원 외교위원 출신 조 바이든과 옛 소련 시절 정보기관인 국가보안위원회(KGB) 요원출신 푸틴의 기 싸움에서 동맹을 통한 신사협정으로 해결 보려는 미국 바이든의 수보다는 힘으로 밀어 붙이는 막가파 식의 푸틴의 수가 더 잘 먹히는 상황입니다. 아프가니스탄에서 철수에 이어 이번 우크라이나에서도 밀리면 미국의 역할과 바이든 대통령의 리더십은 치명적으로 손상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특히 중간선거를 앞둔 바이든의 지지율은 끝없이 추락하고 있습니다. 취임 402일 기준으로 역대 미국의 12명의 대통령중 바이든의 지지율이 최하입니다. 심지어 전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 보다도 낮은 상태입니다. 바이든의 정책에 대한 미국인들의 심판은 냉정하기만 합니다. 푸틴의 우크라이나 침공, 향후 어떻게 흘려갈까요. 세계의 패권이 어디로 가는 지는 '황금'에게 물어보고 세상이 어디로 가는 지는 '돈'에게 물어보라 라는 말이 있습니다. 한 나라의 정책이 맞게 가고 있는 지는 돈에게 물어보면 됩니다. 푸틴의 우크라이나 공격은 러시아의 주가, 환율, 금리에 물어보면 답이 있습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공격이 성공적이라면, 주가는 올라가고 환율은 절상되고 금리는 안정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돈이 판단하는 푸틴의 우크라이나 공격은 실패입니다. 러시아의 주가와 환율은 폭락했고, 금리는 폭등했습니다. 러시아 SWIFT망 제외…최대 수혜자 중국일까 속전속결을 노렸던 막가파 푸틴을 상대로 미국을 포함한 서방세계가 군사무기가 아닌 국제금융결제망(SWIFT) 제외라는 금융폭탄으로 제재에 나섰습니다. 그러자 푸딘은 핵위협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푸틴의 핵카드에 분노한 전세계가 반전운동에 앞 다투어 동참하고 있습니다. 서방세계는 미국을 중심으로 금융제재는 뺀 경제제재를 내놓았지만, 러시아의 말만 믿고 우크라이나 침공에 손 놓고 있다가 수도 키예프가 함락의 위기를 맞자 국제금융결제망(SWIFT)에서 러시아를 배제하는 금융폭탄을 떨어뜨렸습니다. 러시아는 서방과의 거래에서 미국이 주도하는 국제결제망에서 배제되면서 모든 대외거래에 문제가 생겼습니다. 만약 장기화되면 러시아는 외로운 섬으로 전락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 제재안에도 구멍이 있습니다. 러시아의 모든 은행이 아니고 일부은행은 포함되어 있지 않았고, 에너지 거래는 예외로 한다는 이야기도 들려오고 있습니다. 한겨울에 유럽은 러시아산 천연가스 거래가 중단되면 추위에 떨어야 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입니다 기세 좋게 나섰던 푸틴은 전세계적인 반전 분위기에 궁지에 몰렸습니다. 서방의 경제재재에 이은 금융제재까지 나오자 믿을 곳은 중국 밖에 없습니다. 서방세계가 한 목소리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비난하고 공격 중단을 요구하고 있지만 중국과 러시아는 오히려 경제, 외교 측면에서 더 밀착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러시아의 대유럽 에너지 수출이 막히면 이를 대신 수입해주는 러시아의 에너지 해방구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중국은 생색내며 싼값에 에너지 확보를 하는 일거 양득의 패를 쥔 것입니다. 중국은 러시아의 달러결제 동결에 대응해 러시아와의 무역거래에서 위안화 결제를 사용함으로써, 위안화 국제화를 하게 되는 덤을 얻게 됩니다. 중국이 만든 국제위안화결제망인(CIPS)를 활용해 서방의 대러시아의 금융봉쇄에 숨통을 트여 줄 수도 있습니다. 다만 중국이 러시아에 대한 서방의 금융제재를 해결해줄 만한 능력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러시아의 대중국 수출과 수입을 보면 각각 16%, 22%에 그치고 있고, 금액면에서 보면 676억 달러 793억 달러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중국의 대러시아 수출과 수입비중은 각각 2%, 3% 수준 밖에 되질 않습니다. 지난 1월 기준 SWIFT망에서 중국 위안화의 국제결제비중은 3.2%선으로, 달러화 39.9%, 유로화 36.6%, 파운드 6.3%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입니다. 중국은 위안화 국제화를 위해 SWIFT망에 대응해 중국의 독자 국제결제시스템 '위안화 국제은행 간 결제시스템'(CIPS)을 만들었습니다. CIPS는 2015년 10월 출범 후 참여 은행이 급속도로 늘어 올해 1월 기준 103개국에서 1280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직접 참여기관은 75개, 간접참여기관이 1205개입니다. 아시아가 934개, 유럽이 159개, 아프리카 43개, 북미29개, 오세아니아 23개 남미가 17개입니다. 문제는 거래 규모입니다. 작년 SWIFT에서 결제된 금액은 140조 달러 규모로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152%에 달합니다. 반면 CIPS의 거래규모는 고작 12조 달러로, SWIFT 거래 규모의 8.6%에 불과한 수준입니다. 중국이 세계무역거래 비중이 17%에 달해도 위안화 결제비중이 낮은 것은 수출의 경우 중국이 결제화폐를 결정할 수 있지만, 수입은 수입국이 결제화폐를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미국으로부터 경제제재를 받고 있는 이란, 베네수엘라, 러시아 같은 나라들이 달러이용을 제한 당하자 우회수단으로 CIPS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절대규모로 보면 미미한 수준입니다. 러시아 기업이 중국에서 수입대금 결제에 위안화를 이용하는 비율은 2014년 9%에서 2017년은 15%로 높아졌습니다. 러시아 중앙은행의 2020년 외환보유고에서 달러 비율은 2014년 46%에서 2021년에는 16%로 낮아졌지만, 위안화가 차지하는 비율은 여전히 7%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미국으로부터 경제, 금융제재를 받고 있는 러시아가 달러 이용을 제한당하면 우회 대안으로 CIPS 이용 확대를 선택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과 무역의 절대 규모나 거래기관이 제한적이어서 그 효과는 미미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CIPS망에서 비위안화 거래는 다시 SWIFT망을 사용해야 하는 한계가 있습니다. 2021년 기준 위안화 거래는 17.3%에 불과하고, 다시 SWIFT망을 이용하는 비위안화 거래가 82.7%에 달했습니다. 중국 은행이 비위안화 거래를 제재대상 국가의 은행과 거래하는 것은 다시 미국으로부터의 제재를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경우 비위안화 거래가 쉽게 응하기 어려운 점도 있습니다. 과거 이란과 중국의 쿤룬은행이 비위안화 거래를 하다가 미국으로부터 제재를 받은 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루불화의 불안정성 때문에 루불화-위안화의 거래를 지속하기 어렵다는 점도 존재합니다. 전쟁보다 글로벌 공급망 교란이 더 큰 문제 러시아는 전 세계 천연가스 생산의 16.6%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석유는 11.6%를 공급하고 있으며, 알루미늄은 5.6%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유럽은 에너지소비의 25%가 천연가스인데, 이중 40%를 러시아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함께 천연가스, 석유화학의 기초소재인 나프타, 석유, 반도체에 들어가는 네온, 첨단산업에 들어가는 팔라듐, 니켈, 알루미늄 등의 소재가격의 폭등이 더 큰 문제입니다 또 러시아에 대한 경제제재로 공급부족을 우려한 가수요가 이들 상품의 가격상승을 더욱 가속화 시키고 있습니다. 이것이 공업물가를 자극하는 인플레이션 공포를 만듭니다. 향후 미국이 인플레로 금리를 7~8차례 올려야 할 것이라는 예측을 내 놓고 있지만 우크라이나 사태는 여기에 기름을 부은 형국입니다. 항상 그랬지만 정책당국의 대응은 항상 뒷북입니다. 경기과열에 선제적인 금리인상이나 금융긴축은 없었습니다. 인플레가 잡힐 때까지 올린 무리한 금리인상은 결국 금융시장, 자산시장의 붕괴를 가져옵니다. '악마는 항상 약한 놈부터 잡아 먹는다' 1980년대 이후 세계 금융의 역사를 보면 미국의 금리인상은 항상 약한 놈부터 잡아 먹었습니다. 미국의 급격한 금리인상은 결국 외환사정이 취약하고 부채구조가 나쁜 신흥국의 국가부도를 필연적으로 만듭니다. 중국, 대놓고 러시아편 못 드는 진짜 이유는 우크라이나 사태는 러시아가 사고를 치고 중국이 뒷배를 봐주는 형국이 되었지만 중국이 대놓고 러시아를 편들진 못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에 참석한 푸틴과 회담하면서 100억㎥의 천연가스를 중국석유천연가스공사(CNPC)가 러시아 가스프롬사로부터 사주기로 했습니다. 푸틴은 유럽으로 천연가스 수출이 막힐 것을 대비해 대안을 마련한 것입니다. 중국은 러시아와의 회담에서 우크라이나의 나토가입에 대해 나토의 동진에 반대하고 러시아의 입장에 동조하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하지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중국은 서방의 러시아 규탄에 대해 적극적인 방어태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중국은 러시아와 '국가의 핵심이익'을 지키는데 서로를 지원한다는 표현으로, 간접적으로 러시아 편을 드는데 그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중국이 안고 있는 국내 정치 문제 때문입니다. 대놓고 우크라이나 침공을 비호했다가는 바로 신장, 티벳, 대만의 독립문제가 자충수가 될 수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분리 독립을 명분으로 내세운 러시아를 중국이 지지한다면 신장, 티베트, 대만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벌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병합할 때나 이번 우크라이나 돈바스 지역의 독립 승인의 경우 주민들의 '자결권'을 명분으로 내세웠습니다. 이 논리라면 중국은 독립을 주장하는 신장, 티베트, 대만의 경우 독립을 막기 어렵습니다. 또 '외부간섭' 역시 홍콩문제나 대만문제에 그대로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중국 입장에서 러시아와 미국과의 마찰이 싫지만은 않습니다. 중국이 미국과 경제 전쟁을 벌이는 와중에 미국의 전력을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푸틴의 핵 위혐은 불편합니다. 2013년 우크라이나 빅토르 야누코비치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중국은 우크라이나가 핵무기 공격을 받을 경우 중국이 안전보장을 제공한다는 공동성명을 발표한 적이 있습니다. 따라서 지금 푸틴의 핵무기 사용위협에 대해 중국은 곤혹스러울 수 밖에 없습니다. 일대일로 연선국가들 사이에서 리더십을 보이고 싶은 중국은 우크라이나와의 약속을 어길 경우 그간 공들인 일대일로 정책에 타격을 입힐 수 있습니다. 우크라 사태에 중국과 대만도 긴장 높아지나 소련제국의 부활을 꿈꾸는 '차르'(황제) 푸틴은 조지아, 크림반도, 이번에 우크라이나 사태를 통해 야금야금 영향력을 키워 나가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사태를 계기로 전 세계의 또 다른 시선은 중국에 맞춰져 있습니다. 러시아 푸틴의 우크라이나 공격에 자극 받은 중국이 대만을 같은 방식으로 통일하려는 시도를 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 때문입니다. 그러나 대만과 우크라이나는 상황이 완전히 다릅니다. 미국은 우크라이나사태에는 군사적 개입없이 구두개입과 금융제재정도를 하고 있지만, 대만은 다릅니다. 바로 미국의 국내 법인 '대만관계법'(Taiwan Relations Act)과 반도체산업이 미국이 대만을 우크라이나와는 전혀 다른 차원의 대응이 있을 수밖에 없게 만듭니다. 만약 중국이 오판을 해서 대만을 공격하는 일이 벌어진다면 이는 미국의 자동개입을 부르고 세계 3차대전을 불러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중국은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한 언급을 극히 삼가하고 있고, 대만 문제에 대해서도 서방세계에서는 말이 많지만 일체 언급하질 않습니다. 미국은 대만관계법을 통해 대만이 본토로부터 무력침공을 받았을 때 자동개입할 근거를 가지고 있습니다. 미국은 중국에 대해 수교이전에 국내법으로 대만의 지위를 먼저 보장했기 때문입니다. 만약 중국이 대만을 무력침공한다면 이는 미국의 자동개입을 부르게 됩니다. 중국이 대만을 쉽게 공격할 수 없는 또 다른 이유는 '반도체'입니다. 지금 대만은 전세계 반도체 파운드리의 최대 공급지이자, 특히 5nm이하의 첨단반도체에서는 한국과 쌍벽을 이루는 나라입니다. 현재 미국은 5nm급 반도체를 생산할 기술과 공장이 없습니다. 작년 기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선두를 달리는 대만 TSMC 매출의 65%가 미국으로부터 나왔습니다. 대만의 최대 반도체 업체이자 세계최대의 파운드리업체인 TSMC의 반도체라인이 중국의 공격으로 파괴된다면 미국 첨단산업은 반도체 부족으로 치명적인 타격을 입을 수 있습니다. 중국과 4차산업혁명의 패권을 다투는 미국으로서는 이런 상황이 발생하는 것은 절대 좌시할 수 없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전 합창의장, NSC부보좌관, 전 국방부차관으로 구성된 고위급 대표단을 대만으로 급파했습니다. 이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침묵하고 있는 중국에 대한 일종의 경고이기도 합니다. 대만문제에 대해서는 미국이 절대 좌시하지 않는 다는 것을 대만에게는 강한 믿음을 주고 중국에는 사전경고를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경닷컴 The Moneyist> 전병서 중국경제금융연구소 소장 출처: 한국경제
-
- 작성일 2022-03-08
- 조회수 0
-
- [내일신문] 앞으로 10년 먹을거리는 메타버스에 있다/안유화 교수
- 며칠 전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는 자신이 설립한 백신 소프트웨어기업 안랩이 10년 전 메타버스 게임 플랫폼 '로블록스'에 투자한 2000만원이 현재 250억원의 수익을 올렸다고 밝혔다. 10년 사이에 1287배 넘는 수익을 올린 셈이다. 그러면서 그는 국민연금도 이런 투자를 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치인의 얘기라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10년 전 348조9000억원이었던 국민연금 적립금의 0.286%인 1조원을 이런 회사에 투자했다면 어땠을까. 지금은 과학기술 중심 사고를 기반으로 미래를 정확히 예측하는 통찰력이 아주 중요한 시대다. 우리는 이 시점에 미래 10년 우리에게 1000배의 수익을 안겨줄 수 있는 기회는 어디에 있을까를 진지하게 고민해봐야 할 때다. 그중 한 영역이 메타버스다. 메타버스가 구현하는 4가지 세계 메타버스는 '초월, 그 이상'을 뜻하는 그리스어 메타(Meta)와 '세상,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다. 메타버스는 가상과 현실이 상호작용하며 공진화하고, 그 속에서 사회·경제·문화 활동이 이루어지면서 가치를 창출하는 세상이다. 예를 들면 현실에 대한민국이라고 하는 국가가 있으면 가상공간에서도 대한민국이라는 국가를 구현할 수 있으며, 앞으로 가상의 대한민국이 만들어내는 경제적 부가가치(GDP)가 현실의 GDP를 초월할 수도 있다. 사용자들은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다양한 콘텐츠 창작과 소비를 통해 엔터테인먼트 소셜라이징 학습 상업활동을 영위하게 된다. 메타버스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라이프로깅(Life-logging), 거울세계(Mirror Worlds), 가상세계(Virtual Worlds)의 4가지 세계로 구분되어 표현된다. '증강현실'은 포켓몬고와 같이 현실에서 받기 어려운 감각을 증강시킬 목표로 현실에 CG나 시청각적 장치를 보태 가상세계를 덧붙이는 것을 말한다. 실제 공간 위에 가상의 정보를 겹쳐 현실세계를 확장하는 개념이다. '라이프로깅'은 SNS나 블로그처럼 개인의 일상적 경험과 활동 정보가 가상에 연결돼 통합되는 형태를 가리킨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신체 데이터를 연동하는 일도 여기에 속한다. '거울세계'는 구글맵이나 배달의 민족, 줌 원격회의 등과 같이 가상공간에 외부의 환경정보가 통합된 구조를 말하며 현실세계를 가상으로 재현한 것이다. '가상세계'는 로블록스 제페토 포트나이트 등 온라인게임과 영화 '레디플레이어원' 같이 현실과 별개로 작동하는 완결된 구조를 갖춘 가상의 세계를 가리키며, 개인은 완전히 가상으로 구현된 가상세계에서 생활할 수 있다. 메타버스는 현실세계와 평행한 가상의 공간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 자체로 경제활동을 하거나 문명을 이룰 수도 있다. 준비 못한 기업은 경쟁에서 밀려날 것 시공간 제약이 없는 '확장성'과 '국제성', 현실세계와 유사한 '실재감', 미래 잠재고객인 1020세대 이용자에 대한 '접근성', 커뮤니티 중심의 '연대' 등 메타버스 플랫폼의 장점 때문에 유수의 글로벌 브랜드 기업들의 참여가 눈에 띄게 늘었다. 유무형의 IP를 가진 사업자들이 가상-현실이 융합하는 메타버스를 통해 보유 IP의 활용성을 높이고, 이를 통해 새로운 고객 발굴, 브랜드 가치·매출 향상을 기대한다. 디즈니랜드는 AR,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해 현실과 가상이 융합된 새로운 스토리텔링을 제공할 수 있는 '테마파크 메타버스'(Theme park metaverse)를 계획 중이다. 향후 IP 사업자와 제휴를 확대하려는 메타버스 플랫폼 기업과 자체 메타버스 플랫폼을 구축하고자 하는 IP 사업자 간 주도권 확보를 위한 연합·경쟁이 예상된다. 대중을 대상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털 개념의 메타버스 플랫폼과 특정 분야 수요에 특화된 전문 메타버스 플랫폼 등으로 세분화될 전망이다.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사용자들의 마음을 훔치는 것은 플랫폼과 그 안에서 제공되는 양질의 콘텐츠다. 초기 서비스 제공자나 소비 중심의 메타버스가 이용자 중심, 생산과 소비의 연계, 현실경제와의 연관성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변화하면서 이용자가 급증하고 있다. 로블록스의 경우 월간 활성 이용자(MAU, Monthly Activity User)수는 1억5000만명 수준이고 로블록스 스튜디오를 통해 700만명의 이용자가 만든 게임은 5000만개가 넘는다. 이들의 수익은 2018년 7180만달러에서 2020년의 3억2870만달러로 급증했다. 제페토 역시 2018년 출시 후 가입자수는 2억명이 넘고, 이용자는 제페토 스튜디오를 통해 만든 아이템을 판매하며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현재 이용자 제작 아이템이 전체 아이템 판매의 80% 이상을 차지하며, 하루에 7000~8000개씩 신제품 의상이 제작되고 있다. 포트나이트 사용자는 3억5000만명 수준이며, 미국 가수 트래비스 스콧은 게임 내 파티로얄(Party Royal)을 통한 가상 콘서트로 오프라인 대비 10배 매출을 올렸다. 향후에 메타버스 플랫폼 경쟁은 한 기업과 다른 기업간의 경쟁이 아니라 메타버스 플랫폼 기업군과 다른 플랫폼 기업군과의 다방면 경쟁으로 진화할 것이다. 기업이나 개인은 메타버스라는 거대한 파도 앞에 움츠리기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해 스스로 메타버스 길을 만들어가야 한다. 메타버스 시대는 앞으로 살아가야 할 우리의 미래다. 혁신적인 기술과 현실세계를 벗어난 제3의 인터넷 세계 흐름에서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를 미리 준비하지 못한다면 앞으로 기업과 개인은 미래의 경쟁에서 밀려나게 될 것이다. 미래시대 흐름이기에 투자가치 있어 앞으로 10년 1000배의 투자기회는 메타버스 관련 기업에서 나타날 것이다. 안랩의 로블록스의 성공 투자사례가 이를 증명한다. 메타버스의 첫번째 종목인 로블록스는 상장되자마자 자본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어 첫날 54.4% 급등했지만 이는 시작에 불과하다. 최근 20년 동안 새로운 개념과 기술이 등장할 때마다 이와 같은 추세가 나타났다. 현재의 신에너지 자동차 전쟁이 2007~2010년의 휴대폰 전쟁과 비슷하다면, 메타버스는 1999년의 인터넷, 2010년의 비트코인·블록체인과 맞먹는다. 1999년 텐센트나 알리바바, 2010년 비트코인에 투자했다면 지금 수익은 어땠을까. 소프트뱅크 손정의는 오랜 세월동안 알리바바라는 히트주식에 꾸준히 투자했고 대부분의 투자에서 실패했음에도 불구하고 괜찮은 것은 알라바바의 투자수익이 수만배이기 때문이다. 메타버스가 투자할 가치가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미래시대의 흐름이기 때문이다. 투자란 흐름을 전망하고 흐름에 배팅하는 것이다. 자본들이 미래흐름에 투자하면서 진짜 미래가 만들어진다. 자본이 가는 곳이 바로 성장이 일어나는 곳이다. 메타버스는 많은 회사들이 만들어나가야 하는 미래다. 현재 두가지 측면에서 투자기회를 찾을 수 있다. 그것이 바로 기술 차원과 응용 시나리오 차원이다. 기술적 측면은 VR, AR 및 스마트글라스, 5G 인프라, 클라우드 서버나 데이터센터 등을 지칭한다. 응용 시나리오 측면에서는 메타버스가 먼저 게임 전시 교육 설계 분야에서 성공적으로 착륙한 후 앞으로 도시계획 의료 공공서비스 및 산업제조 전반 분야에서 확대 응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메타버스 개념은 일반인들에게 새롭고 그것을 깨닫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지금부터 그것을 관찰하고 연구해야 한다. 모든 사람이 볼 때는 더 이상 기회가 되지 않는다. 안유화 중국증권행정연구원 원장, 성균관대 중국대학원 교수 [출처: 내일신문 오피니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원문 바로보기: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412011
-
- 작성일 2022-01-26
- 조회수 0
-
- [내일신문] 디지털자산 감독관리기구 설립이 필요할까/안유화 교수
- 며칠 전 국회에서 열린 디지털자산 감독관리기구 설립 가능성에 대한 논의에 참여했다. 가상자산의 파생과 변화는 현재의 가상화폐, 대체불가토큰(NFT), 메타버스 세계 속의 다양한 아이템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가상자산은 우리의 일상과 동떨어진 개념 같지만 현실생활과 상호연계성이 있기에 불법적인 자금세탁의 도구가 되기 쉽다. 관련 국제기구와 각국 정부가 가상자산의 금융속성에 치중해 자금세탁 규제를 들이대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러나 앞으로 더 중요한 것은 가상자산의 비금융속성에 더 집중해야 메타버스 시대 주도권을 잡을 수 있다는 사실이다. 그런 만큼 그에 대한 법적 정의와 규제들을 명확히 하고 새로운 감독관리 정책을 구상하고 보완해 나가야 한다. 우선, 가상자산에 대해 국제적으로 합의된 정의가 없다. 국제금융기구와 각국 재정부·중앙은행의 일반적인 컨센서스는 다음과 같다. 가상자산은 법정통화와 실질적인 기초자산을 기반으로 하며 금융상품을 제외한 암호화 기술, 분산계정 또는 이와 유사한 기술을 적용해 디지털 형식으로 기록·저장·거래·전송하는 지불매체 또는 실물투자 대상에 대한 가상가치 수용체다. 블록체인은 알고리즘으로 신용을 창조하고 신용비용을 낮춰 인류의 신용을 객관화시켜 글로벌 범위로의 신용확대 가능성을 보여준다. 가상자산은 암호화 기술을 통해 보안을 강화하고 거래내용을 블록체인 분산장부에 저장해 은행 같은 제3자 보증 없이도 신뢰를 보장하는 탈중앙화된 새로운 자산이다. 메타버스 시대 큰 그림 먼저 그려야 다음, 가상자산은 일부 사람들의 프라이버시(개인정보보호), 통화신뢰, 그리고 자산가치 증식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 그러나 탈중앙화와 익명성, 국경 간 자유로운 지불이 가능하다는 특성 때문에 공갈협박과 사기, 마약밀매(카르텔), 도박, 자금세탁, 테러자금 조달, 탈세, 국가간 불법 자금이전 등에 광범위하게 이용된다. 이에 따라 국제기구와 각국 정부는 가상자산에 대해 국가 통화주권, 자본 통제, 사기 및 자금세탁 방지, 테러 자금조달 차단 차원에서 관리감독을 강화하는 추세다. 2021년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는 '리스크 기반 가상자산 및 가상자산 서비스사업자관리 업데이트 지침'을 발표, 회원국이 자금세탁이나 테러자금 조달 위험 평가요소 및 방법을 개선하도록 안내했다. 현재 50개 이상의 사법관할 구역에서 이미 가상자산 거래를 규제 프레임워크에 넣고, 가상자산 서비스사업자를 위한 라이선스 또는 등록제도를 만들고, 의심스러운 거래 보고 의무를 이행하도록 요구하거나 계획하고 있다. 또 중국 등 일부 관할 구역에서는 가상자산 거래를 불법적인 금융 활동으로 규정하고 금지하고 있다. 메타버스 시대 한국이 '디지털 강국'으로 거듭나려면 그에 알맞은 규제환경을 맞춰 가야 할 것이다. 따라서 디지털자산 관리감독기구 설립 문제에 있어서 메타버스 시대에 그리고자 하는 큰 그림은 무엇인지, 그 속에서 디지털자산 관리감독기관의 도입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우선 고민해야 한다. 다시 말해 한국은 어떤 디지털 강국이 될 것이며 다른 국가와 차별화된 경쟁력은 어디에서 구현할지, 이를 위한 최적의 규제환경은 어떻게 해야 할지를 먼저 고려해야 한다는 의미다. 메타버스 시대 한국의 선도적인 글로벌 브랜드를 구축하는 기회로 활용하려면 정부는 시장개입을 최소화해야 한다. 또 메타버스 시대에 변화하는 동향을 밀접하게 포착하고 선도해야 하며 규제감독이 그것의 장애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자금 모니터링의 관점에서 가상자산 자금세탁 범죄의 거버넌스에 대해 추가 제안을 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상자산의 비금융속성(예컨대 NFT로 명명되는 디지털자산)을 명확히 하고 신규 가상자산에 대한 감독관리 정책을 보완해야 한다. 가상자산 자금세탁 범죄를 막으려면 둘째, 가상자산 거래에 대한 모니터링과 분석을 강화하고, 가상자산 거래의 실질을 구분해 관리감독을 해야 한다. 또 은행과 지불 기관은 법정화폐와 가상자산의 태환장소로서 가상자산 거래 당사자를 실명으로 인증하고 의심거래와 자금 이체경로에 대한 식별능력을 높이고 관련성이 높은 지하금융과 가상 플랫폼 OTC 상인을 중점적으로 모니터링해 의심스러운 거래를 즉시 보고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신기술의 혁신적 적용을 강화해야 한다. 특히 거래소별로 신원인증 기반의 가상자산 거래 이력추적 및 현장추적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넷째, 해외 금융정보기관과 정보공유 및 협력 강화, 가상자산 이용 범죄에 대응하는 국제 공조를 강화해야 한다. 가상자산은 본질적으로 글로벌하다. 자금세탁 방지 기관은 60여개 해외 금융정보기관과 정보공유 및 공동조사 협력을 계속 강화하고 가상자산의 추적과 현장추적을 통해 국내외 거래의 전체 고리를 복원할 수 있어야 한다. 안유화 중국증권행정연구원 원장, 성균관대 중국대학원 교수 [출처: 내일신문 오피니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원문 바로보기: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409468
-
- 작성일 2022-01-26
- 조회수 0
-
- 중국대학원 <제1차 SKKU GSC Academic Seminar> 개최
- 중국대학원 <제1차 SKKU GSC Academic Seminar> 개최 우리 대학 중국 대학원(원장 김용준 교수)은 지난 2022년 1월 14일(금) '제1 차 SKKU GSC Academic Seminar’를 개최하였다. 제1 차 SKKU GSC Academic Seminar의 담당은 중국 대학원 노은영 교수가 맡았으며 2021년 SKKU GSC에서 연구한 다양한 분야의 프로젝트 결과를 공유하였다. 또한 학술제의 다양성을 위한 ‘SKKU GSC 나름 가수다(노래 경연 대회)’가 열렸다. ‘나름 가수다’는 예선과 본선으로 구성되었으며 사전투표를 통해 본선에 진출할 TOP3를 선정하였다. 중국 대학원 19기 김진표 원우와 20기 구선민 원우가 사회를 맡아 진행하였으며, 중국 대학원 김용준 원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2021년 SKKU GSC에서 진행한 ‘황하 동아리-중국 2·3선 도시 연구’, ‘중국 시장연구 학회 동아리 - 텐센트/CATL, 핑안/샤오미’, ‘IBK 기업은행 공모전 수상팀’, ‘GPAS KEEP 프로젝트의 릴리 커버/신세계 면세점’등 다양한 분야의 프로젝트 연구 결과를 공유하는 유익한 시간을 가졌다. 금번 SKKU GSC Academic Seminar에는 사전 신청을 통해 약 45여 명의 중국 대학원 재학생과 신입생 및 졸업생이 참여하였으며 학술제를 참석한 원우들에 한하여 다양한 경품을 추첨하여 제공하며 본 SKKU GSC Academic Seminar행사를 마무리하였다.
-
- 작성일 2022-01-25
- 조회수 316